[SK shieldus Rookies 16기]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융합보안 과정
클라우드기반 시스템 운영 구축 실무 #02
1. VMware, 이미지 다운로드
1) VMware Workstation 17 Pro
https://www.vmware.com/kr/products/workstation-pro/workstation-pro-evaluation.htm
➞ VMware-workstation-full-17.x.x-xxxx.exe
2) ubuntu-20.04-desktop-amd64.iso
https://old-releases.ubuntu.com/releases/20.04/
3) CentOS-7.0-1406-x86_64-DVD.iso
https://archive.kernel.org/centos-vault/7.0.1406/isos/x86_64/
4) Windows10
https://www.microsoft.com/ko-kr/evalcenter/evaluate-windows-10-enterprise
개인정보 입력이 필요할 수 있으니 적당한 정보 입력 후에 > 지금 다운로드하기 < 클릭
2. 네트워크 설정
VMware Workstation Pro 실행 후 상단의 Edit > Virtual Network Editor 열기
* 네트워크 주소 설정
Subnet IP: 192.168.10.0/24
Subnet Mask: 255.255.255.0
GateWay: 192.168.10.2
DNS: 192.168.10.2
Add Network > VMnet8 추가 후 설정 변경 클릭
DHCP 해제 / 192.168.10.0 / 255.255.255.0 입력 후 (1) NAT 설정
192.168.10.2 / IPv6 해제 후 위의 창에서 Apply > OK로 설정 완료한다.
3. 가상머신 생성
먼저, 가상머신들을 생성할 실습 폴더를 따로 만들어준다.
1) [SplunkServer - ubuntu_20.04]
아래 과정을 따라가면서, 이미지에 없는 것은 기본 설정으로 한다.
생성이 완료되었다. 이제 Edit Virtual Machine을 열어 설정을 완료한다.
SplunkServer 가상머신을 구동시켜 설치를 완료한다.
재부팅 후, 화면 비율을 조정해준다.
맨 처음 실습 환경 이미지에서 구성했던 대로 네트워크를 설정한다.
이후 ZeekIDS(Ubuntu) - 10.20 / WebServer(CentOS) - 10.30 / Sysmon(Win10) - 10.40 으로만 달리 해주면 된다.
2) [ZeekIDS - ubuntu_20.04]
다음 이미지 외의 설정은 1) 과 동일하게 한다.
Power on 이후 동일하게 설정
화면 비율 조정, 네트워크 설정도 마찬가지로 해준다.
< 우분투 패키지 다운 >
다음 가상머신 설치 전에, 방금 생성한 SplunkServer와 ZeekIDS에 패키지를 다운받는다.
우분투 패키지 저장소에서 필요한 것을 다운받는 형식이며, 카카오의 우분투 저장소를 사용할 것이다.
터미털을 열고 다음 과정을 진행한다.
sudo su - root
# 우분투 저장소 기록 파일 위치
cd /etc/apt
# 백업 파일 생성
mv sources.list sources.list.bak
nano sources.list
deb http://ftp.daumkakao.com/ubuntu/ focal main
deb http://archive.ubuntu.com/ubuntu/ focal main
deb http://ftp.daumkakao.com/ubuntu/ focal universe
deb http://archive.ubuntu.com/ubuntu/ focal universe
deb http://ftp.daumkakao.com/ubuntu/ focal multiverse
deb http://archive.ubuntu.com/ubuntu/ focal multiverse
deb http://ftp.daumkakao.com/ubuntu/ focal restricted
deb http://archive.ubuntu.com/ubuntu/ focal restricted
Ctrl + O / Enter / Ctrl + X
apt update
apt install -y net-tools
# 가상머신 밖에서 안으로 복붙 안되는 경우 설치
apt-get install open-vm-tools-desktop
3) [WebServer - CentOS_7.0]
Power on 후 설정 진행
WebServer(CentOS) 설치가 완료되었다.
터미널을 열어 네트워크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보자.
su - root
# CentOS 저장소 기록 파일 위치
cd /etc/yum.repos.d
yum update // 버전 때문에 안 될 수도 있음 (설치하지 않고 진행했다)
4) [Sysmon - Windows10]
'SK shieldus Rookies >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운영ㆍ구축 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K shieldus Rookies 16기] Zeek 환경 구성 (0) | 2024.01.09 |
---|---|
Web 구조, HTTP 메시지 구조 (미완) (0) | 2024.01.09 |
[SK shieldus Rookies 16기] HTTPS 구성 실습 (0) | 2024.01.08 |
[SK shieldus Rookies 16기] 대칭키/비대칭키 암호화, 공개 키 기반 구조(PKI) (0) | 2024.01.05 |
Rsyslog 환경 구성 및 실습 (미완) (0) | 2024.01.05 |